![]() |
| ▲GIS 기반 가뭄분석.(경기도 제공) |
‘가뭄피해 예측 시스템’은 지도기반 서비스에 관정, 저수지, 양수장 등 각종 수자원 정보와 기상정보를 연결한 후 가뭄 예측모형을 통해 가뭄취약지역을 분석해 주는 시스템이다.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선정하면 그 주위에 있는 수자원 시설의 용수공급 능력과 지역 기상정보 등을 종합해 가뭄취약여부를 알려준다.
논밭에 대한 가뭄 위험정보를 분석해 해당 지자체 공무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은 경기도가 전국 최초다.
![]() |
| ▲GIS 기반으로 논밭 지적정보, 저수지·관정, 등고선 등 데이터 통합. |
도는 지난해 이런 내용을 담은 가뭄피해 예측 시스템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빅데이터 플래그십 기획.검증 공모사업’에 제안해, 국비 50%를 지원받았다.
도는 현재 농업기술원, 5개 시, 한국농어촌공사 등 13개 기관의 저수지, 관정, 양/배수장, 기상정보 등 52건의 수자원 데이터 수집을 완료했다.
5개 시는 이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내 가뭄취약 지역을 예측, 해당 시군에 제공해 긴급양수장 우선 배치 등 가뭄 행정에 활용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도는 데이터를 계속해서 축적, 중장기적으로는 필지 인허가 업무에도 활용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도는 22일 5개시와 한국농어촌공사, 농업기술원, 경기도 농정해양국 직원 20명을 대상으로 시스템 이용방법 설명 등 담당자 활용교육을 가졌다.
이응준 도 데이터정책담당관은 "이번 시스템 개발로 경기도가 농정분야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고 본다"면서 "하반기에는 분석대상 시군을 10개로 확대하고, 공무원뿐 아니라 농민들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