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30개 혁신 사례 수록한 백서‘신바람 수원’ 발간
| ▲염태영 시장이 지난해 8월 3일 나라꽃 무궁화 축제에 반바지를 입고 참석한 모습.(수원시 제공) |
‘반바지 혁신’의 시작이었다. 염태영 시장은 “시장부터 반바지를 입겠다”며 반바지를 입고 출근했다. 이어 간부공무원들이 ‘반바지 출근’에 동참했고, 반바지 차림으로 출근하는 공무원은 계속해서 늘어났다.
‘반바지 혁신’은 이제 수원시의 대표적인 혁신 사례로 소개되고 있다.
![]() |
| ▲수원혁신백서-신바람 수원. |
경기 수원시가 ‘반바지 혁신’을 비롯한 혁신 사례를 소개한 ‘수원혁신백서-신바람 수원’을 제작했다고 15일 밝혔다.
수원혁신백서에는 ‘의전 간소화’, ‘복합문화공간-고색뉴지엄’, ‘주차공유사업’ 등 30개의 혁신 사례가 담겨있다.
염태영 시장은 지난해 8월 민선 7기 첫 기자회견에서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강도 높게 시정을 혁신하는 것이 시민의 신뢰를 얻는 지름길”이라며 “민심에 귀 기울이며 끊임없이 시정을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9월에는 ‘초청 내빈’ 중심의 관행적인 행사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의전을 간소화하고, 시민이 주인공이 되는 행사를 만들기 위해 ‘의전 및 행사 간소화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의전 간소화 계획’의 핵심은 모든 대내 행사에 내빈석을 없애고, 국경일·국제행사를 제외한 모든 의식행사(본행사 전 축사·내빈소개 등)는 20분 내외, 실외 행사나 참석자들이 선 채로 진행되는 의식행사는 10분 내외로 끝내는 것이다.
사회자가 내빈을 한 명씩 소개하는 관행을 없애고, 전광판 등을 활용해 내빈을 한 번에 알린다. 부득이하게 내빈을 소개해야할 때는 행사 시작 전 직위·이름만 소개한다.
아울러 회의 자료 책자를 없애고, 회의 참석자들은 개인 컵을 사용하는 등 격식을 탈피하는 ‘회의 문화 혁신’도 추진하고 있다.
2017년 11월 문을 연 ‘고색 뉴지엄’은 대표적인 공간 혁신 사례다.
방치됐던 수원산업단지 폐수처리장을 고쳐 지은 고색 뉴지엄은 전시실, 아카이브(정보 창고), 독서 공간, 창의적 체험 공간 등이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다.
2005년 조성된 폐수처리장은 수원산업단지가 환경오염물질 배출이 거의 없는 도시형 공장 중심으로 구성되면서 방치됐었다.
더불어 ‘주차장 공유사업’은 교회 주차장 등을 주민들에게 무료로 개방하는 것이다.
시는 2017년 12월부터 관내 교회와 ‘주차장 나눔 협약’을 체결하고, 주차장 공유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중앙침례교회·수원제일교회·수원영락교회·숲과샘이있는평안교회·영화교회가 협약에 참여했다.
또 KT&G, LH와 토지 무상 임대차 계약을 체결해 KT&G 수원공장 부지(대유평지구) 일부 토지와 세류초등학교 옆 LH 공사 소유 토지를 주차장으로 조성했다.
지난해 주차공유사업으로 공유주차장 7개소 530면을 확보해 공영주차장 조성 대비 약 420억원의 예산을 절약하는 효과를 거뒀다.
이밖에 빗물을 재활용하는 ‘스마트 레인시티’,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CCTV 영상을 경찰·소방서에 실시간으로 ‘스마트 통합플랫폼’, 250여 가지 민원유형을 자동분류해 실시간으로 민원현황을 파악하는 ‘수원시민 민원분석 플랫폼’ 등은 ‘스마트 혁신’ 사례로 꼽힌다.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시의 끊임없는 혁신은 지방 혁신의 본보기가 되고 있다”면서 “2019년에도 시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혁신을 계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