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맹화찬 기자]부산지방경찰청은 올해 1~6월 부산지역 보이스피싱 피해를 분석한 결과, 피해규모는 총 1047건의 136억1000만원으로 지난해 동기간 대비 발생건수는 13.2%, 피해금액은 44.8%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가계대출 수요증가를 악용해 금융기관 사칭해 대출해주겠다며 접근하는 대출사기 수법이 크게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1047건 중 930건이 대출사기형으로 이 중 90% 이상이 시중 은행·캐피탈회사 등의 금융기관을 사칭했다.
한편 부산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에 '보이스피싱 전담수사팀'을 설치하는 등 단속을 강화해 총 1394건에 보이스피싱 사기범 1445명을 검거했다. 전년 동기간 대비 검거건수는 21.9%, 검거인원은 11% 증가했다.
또한 금융기관 등 유관기관들과 협력을 강화해 14억6300만원의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해 지난해 동기간 대비 8.1%가 향상됐다.
이와 같이 보이스피싱 피해가 계속 증가하는 원인은 대출 수요증가를 악용해서 금융기관을 사칭해서 저금리 대환대출을 해주겠다며, 기존 채무상환 등의 명목으로 금전을 요구하는 대출사기 수법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부산경찰 관계자는 “금융기관에서 전화로 대출상담을 먼저 해오는 경우는 없음을 명심하고, 대출상담은 반드시 금융기관을 직접 방문상담해야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대출에 필요한 금융기관 앱(app)을 다운받으라며 문자나카톡 등 SNS를 통해 악성코드를 보내 설치하게 하는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이 등장했다.
만약 악성코드를 다운받게 되면 은행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도 보이스피싱 사기범에게 연결돼 피해를 당하게 된다. 문자메시지나 카카오톡 등 SNS를 통해 전송되는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는 절대 클릭해서는 안된다.
또한 경찰·검찰·금융감독원은 어떤 경우에도 예금보호나 범죄수사를 이유로 돈을 요구하지 않는다.이런 전화는 100% 보이스피싱임을 명심하고, 만일 속아서 돈을 송금했다면 즉시 112로 신고해 피해금 지급정지 요청을 해야 피해를 입지 않는다.
앞으로 부산경찰청은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은행 창구에서부터 선제적으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경찰·금융기관간 공동체치안체제를 더욱 공고히 해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