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철도연과 MOU체결…서울형 표준 신호시스템 구축
[로컬세계 라안일 기자] 국내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국산 철도 신호시스템이 서울 신림선경전철에 첫 도입된다.
서울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서울형 표준 신호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업무협약을 1일 오후 4시에 체결한다고 밝혔다.
…
양 기관은 건널목이 필요 없고 대부분 지하구간에 건설되는 등 서울시 철도의 특성을 반영한 서울형 표준 신호시스템을 만들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와 철도연이 개발한 ‘도시철도용 국산 무선기반 신호시스템(KRTCS : Korea Radio Train Control System)’을 국내 최초로 영등포구 여의도동(샛강역)에서 서울대 앞까지 총 연장 7.8km 구간에 건설되는 신림선경전철에 적용한다. 신림선경전철은 오는 연말 공사에 들어가 2020년 말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그동안 상당부분의 철도시스템이 국산화됐지만 시장 협소, 개발비용 부담, 가격 경쟁력 약화 등의 이유로 국산화를 하지 못한 신호분야 핵심설비는 외국 기술 의존도가 높아 사업 추진 및 유지·관리 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신규 및 연장 노선 사업에 새로운 신호시스템을 도입하면 외국 제작사 간 시스템이 호환되지 않아 독점에 따른 막대한 비용부담을 겪게 된다. 시스템 장애 발생 시에도 외국 제작사에서 기술검토 후 처리돼 실제 시스템에 조치할 수 있는 기간도 길어졌다.
이번 협약으로 신호시스템을 국산화하고 ‘서울형 표준 신호시스템’을 만들면 철도신호분야의 외국기술 의존에 따른 폐해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철도 시스템분야 수출에 기여하는 등 철도분야의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전망하고 있다.
이제원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기술력이 곧 경쟁력이다. 고품질 신호시스템을 구축하고 서울형 표준 신호시스템을 마련해 서울시 도시철도의 경쟁력을 키우겠다”며 “앞으로도 시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철도를 건설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