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수원시 환경사고사례집. |
기초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제작한 환경사고 사례집이다.
14일 수원시에 따르면 수원천 매교 어류 폐사 사건을 비롯해 신동 6가 크롬 유출 사고(2017년), 금곡천 토사유출(2018년) 등 60여 건의 환경 사고 사례가 실려있다.
사례집은 환경사고 현황(2016~2018), 유형별 사고 내역, 주요 사고 사례, 사고 유형별 원인 분석, 총평 및 향후 추진방향 등 5장으로 이뤄져 있다.
환경 사고는 ‘어류폐사’, ‘유해화학물질’, ‘유류유출’, ‘토사유출’, ‘기타’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사례집에는 사고 원인과 조치사항, 사고 재발을 방지할 개선방안과 향후 사고 대응 방향 등이 상세하게 담겨 있다. 환경 사고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을 위한 ‘사고대비물질 취급사업장 대응 가이드’도 수록했다.
수원시는 환경 사고 발생부터 조치까지 모든 사항을 시민과 공유하기 위해 사례집을 제작했다. 지난해 7월부터 5개월에 걸쳐 사례를 모으고 분석했다.
수원시 홈페이지(http://www.suwon.go.kr) 검색창에서 ‘환경 사고 사례집’을 검색해 내려받을 수 있다. 책자는 관련 부서와 시민단체 등 50여 개 기관·단체에 배부할 예정이다.
앞서 수원시는 2016년 12월 '수원시 화학사고관리위원회'를 설립하고, 화학사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화학사고관리위원회'는사업장 위험등급 설정, 비상대응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심의·자문, 지역협의회 구성·운영에 관한 사항 및 중소사업장 지원에 관한 사항 자문 등 역할을 한다.
백운석 수원시 제2부시장을 위원장, 김신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부소장 부위원장으로 하는 위원회는 화학 전문가, 화학물질 전문가, 수원시의회 의원, 시민단체·기업 관계자 등으로 구성돼 있다.
백운석 제2부시장은 “상습적인 환경사고를 방지하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수원시 환경 사례집을 발간했다”면서 “환경사고에 대한 훌륭한 지침서,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수원시는 환경개선과 시민의 건강생활에 직결되는 환경 사고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7월 환경안전팀을 신설했다. 환경안전팀은 화학물질 유출, 물고기 폐사 등 각종 환경 사고를 총괄하고,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