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중심 노선 조정’ 높은 기대감 비쳐…‘시내버스 확대’도 57%가 공감
![]() |
[로컬세계 주덕신 기자]남경필 지사가 중점 추진 중인 ‘광역버스 준공영제’에 대해 도민 4명중 3명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지난 21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정 여론조사’에 따르면 도민 74%가 경기도의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 계획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면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에 반대한다는 의견은 21%였다.
![]() |
| ▲경기도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 찬반.(경기도 제공) |
연령대별로는 도내 광역·시내버스인 G버스 이용 빈도가 높은 20대 중 85%가 버스 준공영제에 찬성한다고 응답했고, 20대 이외 연령대의 69%도 찬성한다고 답했다.
특히 지역별로는 준공영제 참여대상 22개 시‧군 주민의 경우 76%가, 성남.고양 등 현재 불참 의사를 밝힌 지역의 주민 74%도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버스의 가치’에 대한 질문에도 도민의 75%가 ‘공공성’에 대한 고려, 도민의 21%는 ‘시장 자율성’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버스 준공영제가 추진될 경우 기대되는 점으로는 ‘사용자 중심의 노선조정을 통한 이용자 접근성 향상’(39%)과 ‘운전기사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도민안전 확보’(33%)가 각각 높게 꼽혔다.
![]() |
| ▲도입 후 기대되는 점. |
반면, 버스 준공영제 추진 시 우려 사항으로는 ‘세금부담이 커질 가능성’(39%)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버스회사의 안정적 이윤보장 수단으로 전락할 가능성’(26%)이 뒤를 이었다.
![]() |
| ▲도입 후 우려되는 점. |
아울러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 이후 ‘시내버스’까지 준공영제 도입을 확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도, 57%의 도민들이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
| ▲향후 경기도 시내버스 준공영제 확대도입에 대한 의견. |
또한 장기적인 경기도의 버스체계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민영체제를 유지하되, 정부나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준공영 방식’(49%)이 바람직하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 |
| ▲장기적 버스운영체계 추진 방향. |
‘시장원리에 맡겨야한다’(완전 민영)는 의견은 20%, ‘지자체가 직접 버스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완전 공영)는 의견은 28%로 각각 조사됐다.
장영근 경기도 교통국장은 “대부분의 도민들이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에 대해 찬성하는 의견을 보인만큼 도의회, 참여 시·군 등과 함께 경기도 광역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10월 21일 일반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RDD를 활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