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이후 510채 정비…정주여건 개선 효과

[로컬세계 = 이혁중 기자] 경기도는 접경지역 내 빈집을 정비해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접경지역 빈집 정비사업’ 대상에 가평군을 추가해 내년부터 총 8개 시군에서 사업을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도는 올해 3월 접경지역에 편입된 가평군을 포함하기 위해 하반기 사전 수요조사를 거쳐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기존 사업 대상은 고양·파주·김포·양주·포천·동두천·연천 등 7개 시군이었다.
올해는 7개 시군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진행해 총 32곳을 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도는 총 3억3천만 원을 투입해 빈집 철거와 나대지 공공활용을 추진하며, 철거는 개소당 최대 2천만 원, 공공활용은 최대 1천만 원까지 지원한다.
빈집 정비사업은 노후·위험 주택 철거를 넘어 마을쉼터, 소공원, 공공주차장 등 주민 공동체 공간으로 재구성해 정주여건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510채의 빈집을 마을정원, 주차장 등 공공장소로 전환하며 주민 생활 만족도를 높여왔다.
도는 가평군이 관광자원과 지형적 특성, 도심과의 거리를 고려할 때 빈집 철거와 나대지 활용의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상수 경기도 균형발전기획실장은 “가평군의 사업 편입은 기존 성과를 견고히 하고, 공간 재구성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을 실현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하반기 사전조사로 현황과 주민 수요를 면밀히 파악해 지속가능한 성과를 내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앞으로도 시군 및 중앙부처와 협력해 빈집 정비사업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접경지역의 인구 감소와 주거환경 악화 문제를 구조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로컬세계 / 이혁중 기자 lhj3976@hanmail.net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