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30 대구도시기본계획'은 시민참여단의 적극적인 참여로 ▲미래비전 ▲인구 및 주요지표 ▲공간구조 ▲생활권 발전전략 등을 주요주제로 대구미래비전과 발전목표를 정했다.
이번 계획의 미래비전의 실천전략으로는 △주변도시와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허브도시' △개성과 다양성이 존중되는 '개방된 포용도시' △도전과 창조로 만들어가는 '미래형 산업도시'고 설정했다.
목표인구는 2015년 인구 251만명 보다 24만명 증가한 275만명으로 정하며 △출산친화도시 △청년친화도시 △열린 다문화 도시 △기업친화 도시로 나아갈 것을 계획했다.
도시공간구조는 1도심, 4부도심(동대구, 칠곡, 성서, 현풍), 5성장유도거점(서대구, 월배화원, 수성, 안심, 불로검단)으로 개편했다.
성장유도거점의 경우 기성시가지내 새로운 기능 집적이 필요한 지역에 특화된 개발계획 등을 통한 점진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각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는 중심지로 발전할 예정이다.
생활권은 토지이용 및 통행 특성, 도시공간구조의 발전방향 등을 반영해 10개 생활권으로 설정했으며 생활권별 자족성 강화 및 균형발전 유도를 위해 도시공간구조에서 결정된 중심지가 각 생활권별 중심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공간구조와 생활권을 연계하여 기존 11개 생활권에서 10개 생활권으로 개편했다.
우상정 시 도시재창조국장은 “주민참여형 도시계획 수립은 이번에만 한정하지 않고 도시행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보다 다양한 시민참여방법에 대한 적극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30 대구도시기본계획'에 대한 기타 관련자료는 대구시 홈페이지(분야별정보→도시주택·건설→도시계획→도시기본계획)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