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울주군에 위치한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외교부는 지난 6일부터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고 있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현지 시간 12일 오전,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를 최종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로써 ‘반구천의 암각화’는 2010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오른 지 15년 만에 결실을 맺게 됐으며,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 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등재된 유산은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를 포함하는 단일 유산이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이 유산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과 독특한 구도가 돋보이는 사실적 그림은 선사시대 한반도인의 예술성을 보여주며,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를 표현한 희귀한 주제를 창의적으로 그려낸 걸작이며, △약 6천 년간 지속된 암각화 전통의 독보적 증거로서 동남부 연안 지역의 문화 발전을 압축적으로 드러낸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 진척 상황 보고, △반구천세계암각화센터의 효율적 운영, △관리체계 내 지역사회 역할 공식화,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주요 개발계획에 대한 사전 통보를 권고했다.
이번 등재는 외교부와 국가유산청,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유기적으로 협력해 이뤄낸 결과다.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적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고, 지역 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도모하는 정책적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