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5월 26일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갖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청와대 제공) |
남북관계 현안 조사결과, 국민 10명 중 6명은 하노이 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요청한 중재자 역할과 관련 현 시점에서 ‘남북정상회담’(63.9% = 판문점 등 실무형 정상회담 36.6% + 공식적 서울 정상회담 27.3%)을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판문점 등에서 실무형 남북정상회담’(36.6%) ▲‘공식적인 서울 남북정상회담’(27.3%) ▲‘남북 고위급(장관급) 회담’(11.6%) ▲‘대북 (대통령)특사 파견’(10.8%) 순이었다.
![]()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제공. |
우리국민의 과반수 이상이 향후 북미 간 비핵화 협상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58.1%=매우 6.9%+어느 정도 51.2%)하는 것으로 조사돼 현재 북미 간 신경전에도 불구하고 대화와 협상 재개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핵화 및 대북제재에 대해서는 비핵화와 연계한 ‘대북제재 완화’ 의견이 54%(先 대북제재 완화 13.7%+단계별 대북제재 완화 40.3%)로 ‘대북제재 유지’ 의견 41.6%보다 12.4%P 높게 나타났다.
![]() |
국민 5명 중 3명 이상이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 재개가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경제에 ‘도움이 될 것’(62.4%=매우 24.3%+어느 정도 38.1%)이라고 응답하여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36.2%=별로 24.8%+전혀 11.4%)보다 26.2%P 높게 나타났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국민과 함께, 남북이 함께, 대립과 갈등을 끝내고 평화협력공동체를 만들어 가겠다”며 우리가 주도하는 새로운 100년의 질서로서 밝힌 ‘신한반도체제’ 구상에 대해 국민의 과반수 이상이 공감(59.2%= 매우 21.2% + 대체로 38%)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분기별 조사 추이분석 결과, 통일 후 지금보다 발전되고 잘살게 될 것이라는 견해에 대해 ‘공감한다’는 응답이 65.2%(매우 26%+대체로 39.2%)로 작년 4분기 조사(59.6%)보다 5.6%P 증가했으며,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33.3%)보다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북한체제의 개혁·개방 가능성에 대해서도 ‘높다’는 응답이 58.9%(매우 18.3%+약간 40.6%)로 지난해 1분기 이후 지속적으로 ‘높다’는 응답이 ‘낮다’는 응답을 앞지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 |
이번 2019년 1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사회여론연구소'에 의뢰하여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3.1%P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