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지방경찰청 전경. |
[로컬세계 맹화찬 기자]부산시는 교통문화 선진화와 보행자 안전강화를 위해 전국 최초로 지난해 11월 11일(보행자의 날)에 ‘부산 안전속도 5030’을 선포했다.
24일 부산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안전속도 5030’은 시내 주요도로(물류·자동차전용·국도 제외)는 50km/h, 그 외 이면도로는 30km/h로 속도를 제한하는 정책으로 OECD 대부분 국가에서 오래전부터 이미 시행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찰과 시는 ‘안전속도 5030’의 목적이 시민의 안전 확보에 있는 만큼, 다양한 홍보와 함께 과속 차량에 대해 계도장을 지속적으로 발부해 왔다. 6개월 계도기간 동안 적발된 건수는 총 27만6772건으로, 무인단속카메라 1대당 일평균 6.76대가 단속됐다.
사고 발생 시 중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71km이상 단속 차량은 정책 시행 전 대당 일 1.67건이 단속됐으나, 시행 후 0.53건으로 단속돼 대형사고의 발생확률이 그만큼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전년 같은기간(2019년 5∼8월) 사고통계에서도 교통사고 사망자가 40명에서 25명으로 38% 감소해 ‘속도를 줄이면 안전이 확보된다’는 명제가 수긍 되어진다.
특히 보행 중 사망자의 경우 전년 동기간 대비 43% 감소해 속도하향 정책이 교통약자인 보행자에 대한 안전확보에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계도기간(6개월) 대당 일평균 6.76건이 단속된을 감안하면 단속율이 대폭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시행 후 전체 단속건수도 점차 감소추세로 나타나 속도 하향을 인지하고 준수하는 시민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전국 운전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안전속도 5030’ 인지도 조사에서도 부산의 인지도는 95.8%로, 전국 평균인 68.1%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 제도가 어느 정도 정착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우려했던 차량정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중추도로인 중앙대로의 속도는 시행 전 평균 28.2km/h에서 시행 후 27.8km/h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평일의 경우 시행전 26.6km/h에서 25.9km/h로 0.7km/h 감소했고, 차량 흐름이 비교적 원활한 휴일의 경우 시행 전 30.1km/h에서 29.7km/h로 0.4km/h 감소해 속도 하향으로 인한 통행속도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경찰관계자는 "시설개선도 중요하지만, 구조적으로 어려운 교통여건 속에서도 전업 운전자를 포함한 많은 시민분들이 이해해주시고 동참하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했다"며 "사람 중심 교통문화로 나아가는데 부산이 전국에서 가장 앞장서 있는 만큼, 제도의 완전한 정착을 위해 시민분들의 지속적인 공감과 동참"을 부탁했다.
특히 "교통약자의 보행안전 확보를 위해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진 보호구역(어린이, 노인)에서의 서행 안전운전을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