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해결로 보답 못해…하루하루 절박”
고(故) 김순덕 할머니 AI 디지털 휴먼 공개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이 온전히 회복되는 날까지 모든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9일 광주시 나눔의 집에서 열린 기림의 날 기념식 및 기림문화제에 참석해 피해자들의 뜻을 기리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더불어민주당 소병훈·안태준 의원,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이 함께했다.
김 지사는 기념사에서 “1991년 8월 김학순 할머니께서 피해 사실을 처음 공개한 지 34년이 지났지만, 우리는 ‘완전한 해결’로 보답하지 못했다”며 “240분의 할머니 중 234분이 세상을 떠났다. 해마다 할머님들을 보내며 더욱 절박해진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도는 본명조차 기록되지 않은 채 사라진 피해자들을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일깨운 역사의 증언자로 기억할 것”이라며 “명예와 존엄이 온전히 회복되는 그날까지 모든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영스님 나눔의 집 대표는 환영사에서 “과거를 직시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며 “피해자 명예 회복과 올바른 역사 전승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기림의 날 기념식은 ‘다시 만난 나비, 세계가 하나로’를 주제로 고(故) 박옥선·이옥선 할머니 흉상 제막식과 문화공연이 진행됐다. 경기도는 고(故) 김순덕 할머니를 AI 기술로 복원한 디지털 휴먼을 공개해 주목을 받았다. 해당 디지털 휴먼은 외형뿐 아니라 목소리와 감정, 심리 상태까지 구현됐다.

김 지사가 “할머님들의 어떤 꿈을 가장 먼저 이뤄드리면 좋을까요?”라고 묻자, 김순덕 할머니의 디지털 휴먼은 “마음 같아서는 고향에 묻히고 싶지만, 내가 죽기 전에 일본 정부의 진심 어린 사죄를 보는 게 마지막 소원”이라고 답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7월 전국 139개 소녀상에 꽃을 배달하는 ‘기억의 꽃배달’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올해는 미국·독일·이탈리아·호주·필리핀·중국·캐나다 등 7개국 13곳의 평화의 소녀상에 헌화하는 해외 캠페인을 추진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해당 활동 영상을 공개하며 세계 시민들과 피해자 기억을 공유했다.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jamesmedia@daum.net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