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컬세계 = 맹화찬 기자]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는 어민과의 지속적인 협상을 통해 어업 보상 약정서 체결을 지난 7월 11일 완료하고, 부산항 진해신항 정부부문 개발사업을 본격 착공한다고 밝혔다.
부산항 진해신항 개발사업*은 12조 6,379억 원이 투입되는 역대 최대 항만사업으로서 정부는 우선 ‘30년까지 3개 선석 개장을 목표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방파제, 투기장, 방파호안 등 외곽시설사업 동시 추진을 목표로 ’23년부터 시공사 선정 등 관련 절차를 진행하였고, 이번 약정체결로 5개사업**의 전면적인 착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1단계(9선석, 7조 9,096억원)와 2단계(6선석, 4조 7,283억원)로 나누어 순차 개발
남방파제, 남측 방파호안 1·2공구, 투기장 호안 1·2공구 축조공사
진해신항은 부산항의 글로벌 최첨단 스마트 허브 항만 육성을 위해 충분한 시설 능력과 완전 자동 시스템, 자연 친화적 항만환경을 갖춘 시설로 가덕신공항과 함께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국가 물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부산항건설사무소에서는 진해신항 정부부문 개발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체계적인 사업 관리를 위하여 ‘부산항 진해신항 개발사업 건설관계자 협의체*’를 지난 4월 구성하였고, 매월 정기적인 협의체 회의를 통해 여러 현안 사항을 논의하고 있다.
정부 6개 현장, BPA 3개 현장의 현장소장 및 감리단장으로 구성
특히, 이번 건설관계자 협의체 회의에서는 본격 착공에 따른 공사 준비 사항과 여름철 태풍 등 비상상황 대비 계획, 공사에 따른 주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지역 상생 방안 등을 건설관계자들과 논의할 계획이며, 또한, 중대 재해 예방과 부실시공 방지, 청렴도 제고 등을 위해 건설관계자가 준수해야 할 행동 수칙 등을 공유하고 안전사고 예방 활동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기욱 부산항건설사무소장은 “부산항 진해신항 정부부문 기반시설 사업의 본격 착공을 통해 부산항이 스마트 물류허브 항만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마련되어 글로벌 시설수요에 적기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앞으로 정부 정책 기조에 발맞추어 진해신항 건설사업이 계획대로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