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컬세계 = 김영호 기자] 경기 광명시는 ‘제3차(2026~2028) 자치분권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마치고 향후 3년간 자치분권 정책을 이끌어갈 비전과 실행 전략을 확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은 광명시 자치분권 정책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단계별 발전 전략을 마련해 시민주권을 제도적으로 뿌리내리기 위해 추진됐다. 시는 그동안 선도적으로 추진해 온 자치분권 정책을 국민주권정부의 ‘주권 강화·참여 확대’ 기조와 연계해 우수 모델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비전은 ‘시민주권이 일상화되는 자치분권도시 광명’으로, 민관협치·행정혁신·교육자치·주민자치 등 4개 분야의 전략과 과제가 제시됐다.
민관협치 분야에서는 부서별로 분산된 주민 참여 조직을 통합해 ‘광명시민의회(가칭)’를 설치하고 직접민주주의 제도를 도입한다. 주민발안, 주민소환, 주민투표 제도를 지원하기 위한 주민 참여형 플랫폼도 마련한다.
행정혁신 분야는 주민 참여 기반의 행정 개선을 목표로 부서별 위원회에 주민 대표를 참여시켜 지역 현안 해결에 활용한다.
교육자치 분야에서는 지역 자원을 활용해 시와 주민이 함께 돌봄 교육에 참여하는 ‘광명형 초등교육 돌봄 모델’을 구축한다. 또 ‘광명지역교육협의회’, ‘마을교육자치회’ 등을 구성해 주민 참여형 교육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한다.
아울러 재개발·재건축 등으로 아파트가 많은 지역 특성을 반영해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활동가 양성, 의제 공모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광명시는 이번 계획에 담긴 사업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을 확보해 단계적으로 시행할 방침이다.
로컬세계 / 김영호 기자 bkkm9999@gmail.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