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6월 관악구와 서울캠퍼스타운이 함께 개최한 관악S밸리 스타트업 행사(가운데 박준희 관악구청장)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청년 창업은 도시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이다. 서울 관악구가 대학과 손잡고 청년 창업의 글로벌 무대 진출을 위한 새로운 발판을 마련했다.
관악구는 지난 18일 서울대학교와 공동으로 응모한 ‘2026년 서울캠퍼스타운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로써 구는 ‘창업하기 좋은 도시’로 한 발짝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관악구와 서울대는 2020년 종합형 3기, 2024년 창업형 6기에 이어 이번 세 번째 공모 선정으로 2026년부터 최대 4년간 매년 12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추가로 확보하게 됐다. 지금까지 확보한 시비는 약 110억 원에 달한다.
이번 사업은 ‘First Mover, AI로 세상을 바꾸는 글로벌 딥테크 청년 창업 혁신의 중심’을 비전으로, 지역과 대학이 상생하는 글로벌 창업 혁신 허브 구현을 목표로 한다. 선정은 서울시가 제시한 ▲AI 기반 창업 육성 ▲유망기업 성장 및 자립 지원 ▲서울형 RISE(지역 혁신중심 대학 지원체계) 연계 등을 기준으로 평가해 결정됐다.
구는 이번 사업비에 자체예산과 서울대 대응 자금을 더해 ‘캠퍼스타운 3.0’ 사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특히 관악S밸리와 연계해 ▲AI·딥테크 창업 생태계 조성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창업지원 시설 확충 등을 추진하며 ‘완성형 창업 생태계’를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캠퍼스타운 사업은 서울시와 대학, 자치구가 협력해 대학의 자원을 활용, 청년 창업기업 발굴과 일자리 창출, 유망기업 육성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관악구는 2020년부터 낙성대동과 대학동 일대에 거점 공간 4곳을 마련해 운영 중이며, 5월 기준 총 316개 팀이 입주해 2,407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약 1,579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박준희 구청장은 “2018년부터 서울대와 함께 관악S밸리를 조성하고 청년 창업 지원에 힘쓴 결과, 캠퍼스타운 사업에 세 번째 선정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서울대의 우수 자원을 기반으로 ‘글로벌 청년 창업 허브’로 도약해 관악구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 lim4600@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