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택배용 전기트럭 서울을 달린다

전승원

press21c@localsegye.co.kr | 2014-11-20 16:54:01

서울시, 연료비 적고 소음ㆍ대기오염물질 배출 없는 전기트럭 보급 확대 추진

▲ 서울시 친환경 택배용 전기트럭 보급 확대 추진 © 로컬세계

[로컬세계 전승원 기자] 연료비가  저렴하고 소음과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없는 택배용 전기트럭이 서울시내를 달린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전기트럭을 도심택배용과 화물운송용 트럭으로 운영하는 시범사업을 내년 5월까지 6개월 동안 진행한다고 밝혔다.


시는 친환경 자동차인 전기트럭의 상용화에 앞서 택배차 등 보급 가능한 모델을 발굴해 전기트럭 보급 대상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시는 이 기간 동안 서울시립대학교(평가 사업자)와 함께 경제ㆍ환경적 측면 등 다방면에 걸친 성능평가를 진행할 계획이다.


경제적 측면은 경유트럭 대비 전기트럭에 들어가는 연료비와 유지관리비 등을 분석‧검증하고 환경적 측면은 배출가스 저감효과 등을 분석‧검증하게 된다.


도심택배용 등으로 이용되는 1톤 이하 소형 경유트럭은 저속운행 및 정차가 많은 운행 특성으로 인한 기술적 문제로 매연저감장치(DPF)를 부착하지 못하고 있어 경유트럭을 전기차로 교체하게 되면 대기질 개선에 상당 부분 기여할 것으로 시는 내다봤다.


서울의 초미세먼지(PM-2.5)의 52%가 교통부문(자동차+건설기계)에서 발생하며 주원인 물질인 질소산화물(NOx)은 67%가 경유차에서 발생되고 있다.


아울러 도심택배 트럭의 경우 주행거리가 하루 50km 정도로 짧은 만큼, 여러 번 충전하지 않고도 한 번 충전으로 장시간 이용할 수 있어 전기트럭을 도입하기에 좋은 조건이라고 시는 덧붙였다.

실증사업에 쓰이는 전기트럭 6대는 제작사인 ㈜파워프라자(0.5톤 4대ㆍ1톤 1대)과 ㈜파워테크닉스(1톤 1대)에서 실증사업 기간 동안 운행자에게 무상으로 임대한다.


실증사업 운행자로는 서울시, 강동구, 롯데쇼핑㈜, CJ 대한통운㈜ 등 4개 기관이 참여한다.


0.5톤 전기트럭은 서울시 환경체험교실 화물운송용(1대), 우정사업본부 우편 배달용(1대), 강동구 화물운송용(2대)으로 6개월간 실증운행 한다.


1톤 전기트럭은 롯데쇼핑㈜ 내년 2월까지 CJ 대한통운㈜은 내년 3월~5월에서 물류택배용으로 실증운행 한다.


충전은 0.5톤 전기트럭은 홈충전기를 사용하고 1톤 전기트럭은 완속충전기를 사용하게 된다. 충전비용은 운행자가 부담한다.

이와 관련해서 시는 20일 오후 4시 서소문청사 11층 회의실에서 ‘전기트럭 실증사업 업무협약식’을 개최하고 서울시, ㈜파워프라자, ㈜파워테크닉스, 강동구, 우정사업본부, 롯데쇼핑㈜, CJ대한통운㈜이 공동 협약을 체결한다.


한편 시는 '15년부터 환경부와 함께 개인이 전기트럭을 구입할 때 보조금도 지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비‧시비가 지원되면 소음 발생이 많아 민원 등으로 주간 운행이 어려웠던 냉동택배차 등에서 전기트럭 도입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강희은 서울시 친환경교통과장은 "매연‧소음이 없는 전기트럭 실증사업을 통해 경제성과 환경성을 분석해 수익성 있는 전기트럭 모델을 발굴할 것"이라며 "서울 도심, 특히 주택가 대기질 개선에 획기적인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전기트럭 보급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