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시, 하천복원·외래어퇴치 등 생태도시 만든다
이태술
sunrise1212@hanmil.net | 2018-06-21 14:45:41
▲남원시 제공. |
[로컬세계 이태술 기자]전북 남원시는 오염된 하천을 되살리기 위한 ‘생태하천복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시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생태하천복원사업’은 생태 서식지, 생태관찰 · 탐방로 등도 설치해 수질개선과 수생태계를 복원하는 방식 진행된다.
올해 광치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마무리한데 이어 2020년까지 예산 95억원을 들여 노암동 노암교에서 어현 목기단지에 이르는 2km구간의 주촌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예정이다.
주천면~노암동을 흐르는 주촌천은 상류지역 축사와 농경지에서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노암농공단지와 함파우 유원지 개발지역과 연접해 있어 수질개선 및 생태복원이 요구되어 왔다.
▲남원시는 지난 5월 주민설명회를 갖고 안전한 하천 치수를 위해 하천기본계획에 맞춰 실시설계를 진행했다.(남원시 제공) |
이를 위해 지난 5월 주민설명회를 갖고 안전한 하천 치수를 위해 하천기본계획에 맞춰 실시설계를 진행했다.
6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는 운봉읍 주촌마을 도랑은 예산 6천만원을 들여 도랑주변 환경정비, 수중정화식물인 노랑꽃창포를 식재한다. 둔치에는 황매화 등을 심어 아름다운 꽃길도 만들며 시민들에게 쾌적한 휴식공간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전예방적 차원으로는 지난 2014년부터 ‘옛도랑 복원사업’이라는 이름의 내 집 앞 도랑 복원사업을 추진해 도랑준설, 수질 정화식물 식재, 주민실천 운동 등을 전개하고 있다.
▲생태계 교란 외래어종 수매 현장 사진.(남원시 제공) |
한편 생태계의 다양성과 토종생물을 보호하기 위해 활동에도 앞장서고 있다.
생태계 교란 외래어종인 베스·블루길 3.8톤을 지난 4월부터 수매하는 한편 베스 인공산란장을 설치해 그 알을 제거하고 있다. 외래식물인 가시박등 제거도 시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토종어족자원 보호를 위해 지난달 다슬기 55만패, 참붕어 10만수 등 토종어류를 요천과 광치천 등에 방류했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생태복원 사업을 통해 남원시가 환경, 사람, 문화가 어우러진 생태녹색도시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18 토종어류 방류행사 현장 사진.(남원시 제공) |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