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차로 바닥 '십(+)자' 표시해 사고 예방 한다

전승원

press21c@localsegye.co.kr | 2014-11-12 13:49:33

보·차도 및 신호등 없는 폭 6m미만 골목 교차로 대상
▲ 관악구 청룡초교 앞에 설치된 ‘티(T)자’ 교차점 표시 © 로컬세계

[로컬세계 전승원 기자] 서울시는 좁은 골목길 교차로 좌·우측에서 차가 나올 수 있음을 미리 알려주는 ‘십(+)자’ 또는 알파벳 ‘티(T)자’ 모양의 교차점 표시를 시범설치 한다.


‘십(+)자’ 또는 알파벳 ‘티(T)자’ 모양의 교차점 표시는 보·차도와 신호등이 없는 폭 6m 미만 골목 교차로 바닥이 대상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시내 폭 12m미만 도로에서 총 7,538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7,861명이 다쳤으며 이 중 6m미만 도로인 골목에서 일어난 사고가 3,503건으로 46.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는 내년 3월까지 어린이·노인보호구역 주변 골목을 중심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해 각 자치구마다 50여 개소, 시내 총 1천3백여 개소에 시범 설치할 계획이다.


이는 최근 골목 교차로에 사람이나 차가 접근하면 바닥에 설치된 빨간색 LED등이 켜지는 ‘교차로 알리미’를 시범 설치한 데 이은 것으로 골목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번에 설치하는 ‘십(+)자’ 또는 알파벳 ‘티(T)자’ 교차점 표시는 전방뿐만 아니라 좌·우측에서도 차량 또는 사람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 환기시켜 운전자는 사전에 속도를 줄이고, 보행자는 좌·우를 살피며 걸을 수 있게 하는 원리로 각 교차로 모양에 맞는 형태로 그려진다.


이러한 교차점 표시는 일본에서는 이미 활성화되어 있으며 서울에선 서초·관악구 등 서울 시내 일부 지역에 도입되어 있다.


시는 내년도 시범설치 이후 교통사고 발생빈도와 주민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해 계속해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11년 기준 국내 보행자 사망률은 39.1%로 미국(13.7%), 네덜란드(11.9%), 프랑스(13.1%) 등 OECD 회원국 보행자 평균 사망률(18.8%)보다 2배가 넘는 수준”이라며 “특히 서울의 경우 좁은 골목에서의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률이 높은 만큼 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안전장치들을 우선 설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