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우리 문화재 첫 해외 영구 반출 허가
고현성 기자
local@localsegye.co.kr | 2019-06-19 00:46:47
▲책가도.(문화재청 제공) |
문화재청은 ‘책가도(冊架圖)’와 ‘연화도(蓮花圖)’를 외국에서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상설전시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영구 국외반출을 처음으로 허가했다고 밝혔다.
병풍으로 장황된 이 문화재는 국내에서는 어렵지 않게 확인되는 회화작품인만큼, 국내에 있기보다 국외에서 전시용으로 활용된다면 가치가 더 크다고 판단해 지난 13일 문화재위원회 동산문화재분과의 심의를 거쳐 전시목적으로 영구 국외반출을 허가했다.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제작한 ‘책가도’는 정조의 명으로 처음 그려진 회화양식으로, 서가에 책과 문구류가 조화롭게 그려진 유형은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회화양식이다.
20세기 초에 제작한 ‘연화도는 연꽃을 주제로 그린 그림으로 이번에 반출하는 작품은 19세기 말 화훼화(꽃이나 풀을 그린 그림)의 흐름을 알 수 있는 작품이다.
▲연화도. |
이들 문화재가 전시될 호주 빅토리아국립미술관은 호주에서 1861년 설립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미술관이다.
빅토리아국립미술관은 ‘한국실’이 중국실이나 일본실에 비해 전시품이 크게 부족하다고 판단해 최근 해외 전시가 가능한 한국 문화재를 조사했고, 이들 문화재 2점을 정식으로 구매한 후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내달 중에 반출해가기로 했다.
우리 문화재의 국외반출은 원칙적으로 금지되나, 외국 정부가 인증하는 박물관이나 문화재 관련 단체가 전시목적으로 국내에서 일반동산문화재를 구매 또는 기증받는 경우 문화재청장의 허가로 반출할 수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 허가는 문화재청이 최근 개청 20주년을 맞이해 발표한 ‘미래 정책비전’을 실현하는 첫 사례”라며 “‘한반도를 넘어 세계’로 확산하는 우리 문화의 외연을 확장하고 미래의 문화자원으로 만드는 뜻깊은 조치다”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활용성과 공공성이 명확하게 확보되는 경우 우리 문화재의 국외반출을 적극적으로 허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